본문 바로가기

맥북에서 한글 hwp 파일 열기 & 편집하기

하우맥 2025. 2. 25.

최근엔 확실히 한글 프로그램을 사용할 일이 거의 없다. 아니 생각해보면 최근이라고 표현하기엔 마지막으로 사용한지가 너무 오래된 것 같다.

맥북에서 한글 hwp 파일 열기 & 편집하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말 아주 가끔 그 존재 자체를 잊을만할 때쯤 한번씩 한글 hwp 파일을 열어야 할 일이 생긴다. 특히 나라에서 발표하는 자료를 열람하거나 무언가를 신청할때가 그렇다.

맥에서 한글 hwp 파일을  열어서 편집하는 방법

하지만 자주 사용하지도 않는데 무언가를 새로 구입하거나 구독하기엔 분명 부담스럽다. 또 무언가를 새로 설치하기에도 번거롭다.

다행히 웹앱 형태로 한글 파일을 열어볼 수 있는 서비스가 있다. 한컴독스와 네이버 마이박스이다.

웹앱 형태의 서비스들이기 때문에 굳이 맥에만 한정된 방법은 아니다. 윈도우에서도 얼마든지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컴독스

한컴독스는 한글 프로그램의 개발사인 한글과컴퓨터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이다.

https://www.hancomdocs.com/ko/

 

한컴독스 - 한글과컴퓨터ㅣ구독형 한컴오피스

한컴독스로 어떤 플랫폼에서도 최신 버전의 한컴오피스를 사용해 보세요. 언제 어디서든 문서를 만들고, 여러 사람과 편집, 공유할 수 있어요.

www.hancomdocs.com

한컴독스 홈페이지

구독형 유료 서비스도 제공하지만, 무료 사용자의 경우에도 웹서비스를 통해 한컴오피스 웹버전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끔 한글 파일을 열어 확인하거나 편집하는 정도는 무료로도 충분히 사용 가능하다.

한컴독스 구독료 구분. 무료사용으로도 충분하다.

 특히 무료 사용자에게도 2GB의 저장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가끔 사용하는 정도라면 전혀 모자람없이 사용할 수 있다.

내 경우 말랑말랑 때부터 웹서비스를 이용해 한글 HWP 파일을 열어서 편집하고 출력하고 있는데, 실제 한글 파일 하나하나의 크기가 크지 않기 때문에 무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2GB의 용량도 아직 충분히 여유가 있다.

사용하는 건 쉽다. 다만 회원가입이 필요하다. 다행히 많은 정보를 요구하지는 않는다.

한컴독스 회원가입은 이메일주소와 생년월일만 있으면 된다.

이메일 주소와 생년월일을 입력하고 비밀번호를 정하기만 하면 가입이 완료된다. 물론 구글계정이나 SNS 계정을 이용한 간편 가입도 가능하다.

사용하는 방법 역시 간단하다. 가입 후 로그인을 하면 아래와 같은 홈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한컴독스에 로그인하면 볼 수 있는 홈화면

다른 곳에서 받아놓은 파일을 열어 편집하려면 파일 목록 왼쪽 위에 있는 문서 업로드 버튼을 눌러 파일을 선택해 업로드하면 된다.

파일을 업로드해 편집하거나 새파일을 만들 수 있다.

버튼을 눌러 업로드창을 열리면 업로드하려는 파일을 선택한다. (예시 파일들은 정부의 정책브리핑 사이트에서 다운받음)

저장공간 파일 목록에 방금 업로드한 파일이 표시된다.

업로드한 파일이 목록에 표시되면 클릭해 아래처럼 해당 파일을 열어서 편집할 수 있다.

업로드한 한글파일을 클릭하면 열어서 편집할 수 있다.

물론 프린터나 pdf로 출력도 가능하다.

프린터나 pdf 로 출력도 할 수 있다.

 

네이버 마이박스에서도 한글 파일 편집 가능

네이버 마이박스에서도 한컴오피스 웹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방법은 동일하다. 편집하려는 파일을 올리거나 새로 만들 수 있다.

네이버 마이박스에서도 한컴 웹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네이버 마이박스에서 한글파일을 열어본 모습

네이버 아이디는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거의 대부분 가지고 있으니 이 쪽이 접근성은 더 좋을 수 있다. 한컴독스에 새로 가입하는게 부담스럽다면 네이버 마이박스를 이용하면 된다.

개인적으로는 말랑말랑때부터 사용해온데다 한글파일 사용 빈도가 많지 않고 보관용보다는 일회성 출력 위주라 한컴독스를 애용하는 편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