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북에서 파일 폴더 끌어다 놓는 드래그 앤 드롭은 이동? 복사?
맥북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마우스로 끌어다 놓으면 어떤 때는 복사가 되고, 또 어떤 때는 이동을 한다. 사실 이건 윈도우에서도 마찬가지다. 언제 복사가 되고, 또 언제 이동이 되는걸까?
맥북에서 파일 폴더를 끌어다 놓을 때 복사와 이동이 구분되는 이유와 무조건 복사 혹은 무조건 이동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파일 폴더 드래그 앤 드롭 언제 복사? 또 언제 이동?
결론부터 말하면 파일이나 폴더를 다른 위치로 끌어다 놓을때 해당 위치가 원래 위치와 같은 드라이브안이라면 이동, 다른 드라이브라면 복사가 된다.
같은 드라이브 안에서 끌어다 놓을 땐 이동
파일을 같은 드라이브안의 다른 위치로 끌어다 놓으면 이동이 기본이다.
같은 드라이브 안에서 끌어다 놓으면 실제 데이터가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파일의 경로정보만 수정된다.
폴더는 태그에 비교할 수 있다. 파인더에서는 이렇게 같은 경로 정보를 달고 있는 파일들을 옹기종기 한 폴더에 모여있는것처럼 보여준다.
마우스로 끌어다 놓는 건 실제 파일이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이 태그를 바꿔다는 것과 비슷하다.
이동은 사실 복사 후 원본 파일을 삭제하는 과정이다.
하지만 같은 드라이브 안에서는 애초에 복사한 것이 없으니 삭제할 것도 없고, 파일을 날릴 위험도 없으니 드래그 앤 드롭이라는 단어처럼 직관적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게 자연스럽다.
원래의 위치와 다른 드라이브로 끌어다 놓을 땐 복사
하지만 끌어다 놓을 위치가 원래 있던 위치와 다른 드라이브일 경우엔 파일 드래그 앤 드롭은 복사가 기본이 된다.
즉, 끌어다 놓은 위치에 파일 복사본이 생기고 원본은 원래 위치에 남아있게 된다.
한 드라이브 안에서야 경로정보만 바꾸면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표시할 수 있지만, 다른 드라이브로 실제 데이터가 복사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만약 다른 드라이브로 끌어다 놓을 때 이동을 기본으로 한다면 파일을 복사하는 과정에 문제가 생겼을 때 데이터를 잃을 위험이 커질 수 밖에 없다.
이런 이유로 다른 드라이브로 폴더나 파일을 드래그 앤 드롭하면 복사가 기본이다.
무조건 복사, 무조건 이동
같은 드라이브 안에서도 파일이나 폴더를 복사해야 할일이 있다. 또 다른 드라이브로 파일을 옮길 때 원본을 삭제하려면 귀찮을 때도 있다.
물론 파일을 선택할 수 control + C, control + V를 해도 된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복사, 붙여넣기를 해도 된다.
하지만, 드래그 앤 드롭이 익숙하다면 파일을 끌어다 놓을 때 option⌥ 키나 command⌘키를 같이 눌러 주면 된다.
복사는 option⌥키를 누르면서 끌어다 놓기
같은 드라이브안에서 파일을 끌어다 놓을 때 option⌥키를 누르고 있으면 이동이 아닌 복사를 할 수 있다.
파일을 클릭한 채 option키를 누르면 마우스 포인터 옆에 더하기 표시가 생기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복사가 된다는 의미다.
물론 다른 드라이브로 끌어다 놓을때는 option키를 누르든 안누르든 그냥 복사가 된다.
따라서 복사를 하고 싶을 땐 같은 드라이브안이든 다른 드라이브이든 그냥 option키를 누르고 끌어다 놓으면 헷갈릴 일이 없다.
끌어다 놓을 때 command⌘ 키를 누르면 이동
다른 드라이브로 파일을 끌어다 놓을 땐 복사가 기본이다. 하지만 끌어다 놓을때 coomand 키를 누르고 있으면 이동이 된다.
같은 드라이브안에서는 commad 키를 누르든 안 누르든 이동이 된다.
따라서 이동은 command키를 누른 채 끌어다 놓는다고 기억하고 있으면 헷갈리지 않는다.
번외. 바로가기 만들기
option⌥ + command⌘키를 누르면서 끌어다 놓으면 파일이나 폴더에 대한 바로가기를 만들 수 있다.
파일을 클릭한 후 option⌥ + command⌘키를 눌러보면 마우스 포인터가 바로가기를 의미하는 화살표로 표시되는 걸 볼수 있다.
이 상태일때 파일을 끌어놓으면 바로가기가 생성된다.
'mac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북 Caps lock키 대소문자 전환으로만 사용하는 방법 (0) | 2025.04.25 |
---|---|
맥북 화면모드 라이트모드와 다크모드를 조금 더 간편하게 전환하기 (0) | 2025.04.11 |
맥북 Spaces 가상 데스크탑 순서 고정하는 방법 (0) | 2025.04.10 |
맥북 별도의 앱없이 macOS 잠자기 절전 모드 방지하는 방법 (0) | 2025.03.27 |
맥북 화면 캡쳐시 스크린샷을 jpg 포맷으로 저장하는 2가지 방법 (0) | 2025.03.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