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북 별도의 앱없이 macOS 잠자기 절전 모드 방지하는 방법
맥북을 일정시간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잠자기 모드로 전환된다. 디스플레이와 절전을 위한 당연한 기능이지만, 파일을 전송하거나 영상을 랜더링할 때처럼 잠자기 모드가 반갑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맥북의 잠자기 모드를 일시적으로 중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맥북 잠자기 절전 모드 방지하는 방법
물론 시스템 설정 -> 잠금화면 메뉴에서 비활성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끄기 항목의 옵션을 변경하면 잠자기로 전환되는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꺼진 후 일정시간 경과 후 잠자기 모드로 진입함)
하지만, 매번 설정을 변경하고 작업이 끝나면 설정을 다시 변경해야 하는 건 왠지 모르게 수고스럽다.
필요할 때만 잠자기 모드로 전환되지 않게 하는 간단한 명령어나 앱이 있으면 딱 좋을텐데, 맥에는 그런 왠지 자잘하고 쓸데없지만 괜히 스마트해보이는 명령어나 앱이 또 분명히 있다.
여러가지 다른 방법이 많겠지만, 여기선 터미널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명령어와 그 명령어를 이용한 단축어를 생성한 후 메뉴 막대에 고정해 잠자기 모드 방지를 쉽게 실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맥북 잠자기 모드 방지 macOS 내장 터미널 명령어 -caffeinate
caffeinate은 macOS의 터미널에 기본 내장된 명령어로 시스템이 잠자기 모드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커맨드라인 유틸리티다.
caffeinate
터미널 창을 열어 caffeinate만 입력하면 된다. 해당 터미널 창을 닫거나 control⌃ + c 키를 눌러 caffeinate 프로세스를 종료하지 않는 한 맥은 잠자기 모드에 들어가지 않는다.
몇가지 옵션도 함께 설정할 수 있다.
옵션 | 설명 | 사용 예시 |
-d | 디스플레이가 꺼지지 않도록 방지 | caffeinate -d |
-i | 시스템이 유휴 상태로 판단되어 잠자기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 | caffeinate -i |
-m | 디스크가 유휴 상태일 때 잠자기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 | caffeinate -m |
-s | AC 전원 연결 시 시스템 전체가 잠자기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 | caffeinate -s |
-t [초] | 명령의 효과를 유지할 시간을 초 단위로 지정 | caffeinate -t 600 (10분간 유지) |
-w [PID] | 특정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까지 caffeinate 상태 유지 | caffeinate -w 12345 (PID 12345 종료 시까지) |
예를 들어 1시간동안 화면을 켜놓은채 잠자기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고 싶다면
caffeinate -dit 3600
또는
caffeinate -d -i -t 3600
이라고 입력하면 된다.
caffeinate 명령어를 이용한 단축어 생성
caffeinate 명령어를 이용해 단축어를 생성한 후 상단 메뉴바에 고정하면 마우스 클릭만으로 쉽게 잠자기 모드를 방지할 수 있다.
command⌘ + 스페이바를 누른 후 "단축어"를 입력한 후 엔터를 누른다.
단축어 앱 상단의 + 를 눌러 새로운 단축어를 생성한다.
새 단축어 창 우측에서 추가할 동작을 검색한 후 좌측으로 끌어와 추가하면 된다. 여기서는 명령어를 입력하기 위해 "셸 스크립트 실행" 항목을 검색한다.
동작을 추가하는 건 간단하다. 검색된 항목을 선택해 왼쪽으로 끌어다 놓거나 더블클릭하면 된다.
단축어에 셸 스크립트 동작을 처음 추가했다면 단축어 앱의 스크립트 동작이 비활성화 되어 있기 때문에 동작을 실행할 수 없다고 나온다.
환경설정 열기 버튼을 눌러 "스크립트 실행 허용" 항목에 체크박스를 채워주면 된다.
셸 스크립트 실행이 활성화되고 선택항목들이 보인다.
다른 항목들은 그대로 두고 텍스트 박스에 명령어만 입력해주면 된다.
1800초, 즉 30분동안 잠자기 모드 전환을 막아줄 수 있도록 아래 명령어를 입력했다.
caffeinate -i -t 1800
이제 생성한 단축어에 이름과 아이콘을 만들어준다. 새 단축어 창 상단의 제목 부분을 클릭하면 이름을 수정할 수 있다. 아이콘 역시 마찬가지로 이름 좌측의 아이콘을 클릭해 바꿀 수 있다.
단축어는 따로 저장할 필요가 없다. 생성하면 자동으로 저장된다. 이제 단축어를 상단 메뉴바에 고정하면 된다.
방금 생성한 단축어 창에서 오른쪽 상단 느낌표를 클릭한 후 세부사항 탭 아래 메뉴 막대에 고정 항목에 체크표시를 해주면 된다.
메뉴 막대에 고정 항목에 체크표시를 하면 상단 메뉴바에 단축어 아이콘이 바로 생긴다. 클릭해보면 방금 생성한 단축어가 보인다.
클릭하면 단축어로 생성한 자지마30분이 실행된다.
필요하다면 단축어 이름앞에 있는 스톱버튼을 눌러 단축어의 실행을 중지할 수도 있다.
앱을 설치하는게 부담스럽다면 추천
꼭 필요하지만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면 별도의 앱을 따로 설치하는 것이 조금 부담스러울 수 있다.
그런 경우엔 위에 설명한 잠자기 모드 방지 단축어를 생성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옵션을 이용해 입맛에 맞게 조건들을 맞춰놓으면 딱히 아쉽거나 번거로울 것도 없다.
물론 단축어로 실행하는 것에 비해 좀더 세세한 조건을 마우스만으로 선택할 수 있는 괜찮은 무료 앱들도 꽤 있다.
잠자기 모드 방지를 다양한 조건으로 자주 실행해야 한다면 앱을 설치하는 편이 좀 더 나을 수 있다.
'mac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북 화면모드 라이트모드와 다크모드를 조금 더 간편하게 전환하기 (0) | 2025.04.11 |
---|---|
맥북 Spaces 가상 데스크탑 순서 고정하는 방법 (0) | 2025.04.10 |
맥북 화면 캡쳐시 스크린샷을 jpg 포맷으로 저장하는 2가지 방법 (0) | 2025.03.25 |
맥북 화면 캡쳐 해상도 변경 스크린샷 저장하는 방법 (with 단축어) (0) | 2025.03.24 |
맥북 앱 단축키 한눈에 macOS 입문 필수앱 KeyClu (0) | 2025.03.19 |
댓글